봉명고등학교 로고이미지

창의융합과학사진전(9월)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창의 융합 사진전 20818 정다연
좋아요:0
작성자 정다연 등록일 19.04.11 조회수 177
첨부파일

1. 학번 : 20818

2. 이름 : 정다연

3. 촬영일시 : 2019년 3월 28일

4. 촬영장소 : 강원도 삼척 바닷가 모래사장 (씨스포빌리조트 앞)

5. 작품설명 :  

 지난 3월 말, 국토순례의 마지막 문화답사지인 강원도를 가서 친구들과 추억을 쌓기위해 숙소에서 우리에게 주어진 자유시간을 활용해 숙소 앞 바닷가에 나가 불꽃놀이를 하게되었다.  스파클러 불꽃놀이 재료를 사와 불을 붙여 불꽃놀이를 했는데 이때 스파클러 불꽃놀이 재료는 하나의 철사에 아주 얇은 막이 감싸있는것처럼 생겨서 평범한 철사같이 생긴 물체에 무슨 과학적 요소가 작용되길래 불을 붙이면 불꽃놀이가 가능한걸까?라는 생각이 들어 불꽃놀이에 관한 과학적 원리를 알아보았다. 또한 불꽃놀이를 할때 보이는 불꽃에 대한 궁금증도 조사하였다.

 

- 불꽃놀이의 화학적 구성요소(흑색화약) 

  불꽃놀이에 쓰이는 폭죽을 '연화'라고 한다. 이 연화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물질을 하나 꼽는다면 흑색화약이라 할 수 있다. 질산칼륨, 목탄(숯), 황으로 구성된 흑색화약은 작은 불씨만 있어도 바로 불이 붙어 빠르게 폭발하는 특징이 있어 연화의 필수재료로 쓰인다. 이때 질산칼륨은 산소를 공급하고 황과 탄소성분의 숯은 연료이다. 숯과 황이 연소하면서 질산칼륨을 가열하면 산소가 방출되는데, 그 산소가 불에 공급되고 황은 연기상태로 배출되며 황은 자연에서 얻어지는 광물로 질산칼륨과 숯이 밀착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 불꽃놀이에서 불꽃을 만드는데 관여한 과학적 원리는 무엇이 있을까?

  불꽃놀이에 관여한 과학적 원리에는 대표적으로 불꽃반응연소반응이 있다. 불꽃반응이란 어떤 물질을 겉불꽃 속에 넣었을 때 그 속에 포함된 원소에 따라 독특한 불꽃색을 나타내는 반응이며, 연소반응이란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여 다른 물질로 변하면서 열과 빛을 내는 현상을 말한다.  이 두가지의 대표적인 화학반응이 불꽃이 생성되는데 관여한 과학원리이다.

 

- 불꽃색깔에서 나타나는 원리는 무엇일까?

  불꽃은 금속의 연소반응과 불꽃반응 원리로 만들어진다. 각 금속은 화약과 타면서 산소와 결합하는데, 이때 금속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지닌 불꽃을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중학교때 과학시간에 배웠던 금속이 연소할때 알루미늄은 은색, 나트륨은 노란색, 구리는 파란색의 불꽃이 나타나는 현상이 불꽃놀이에서도 적용이 된것이다. 이로인해 불꽃놀이뿐만 아니라 큰 폭죽을 터뜨릴때 폭죽에 다양한 금속을 주입시켜 연소시키면 형형색색의 불꽃이 나타나면서 화려한 폭죽놀이가 되는 것이다.

 

이전글 창의 융합 사진전 20711 박지연
다음글 창의융합 사진전 20227 최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