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명고등학교 로고이미지

YNP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PD란 무엇일까?(김진식)
작성자 추소희 등록일 18.06.27 조회수 54
첨부파일
김진식.hwp (127KB) (다운횟수:53)
<개인기사>

PD란 무엇일까?

기사작성:20706김진식

 

모든 사람들에게 감동과 웃음 또는 슬픔을 줄 수 있는 하나의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는 출연진, 작가, 제작진 뿐만 아니라 수십 명의 스텝과 출연진을 진두지휘할 수 있는 PD의 역할도 필요하다. 여기서 PD란 대체 무엇일까?.PD의 사전적 정의는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 기획, 촬영, 편집을 총지휘하는 사람을 말한다 (제작자(Producer) + 연출가(Director) 역할을 겸하기 때문에 PD라고 부른다)

 

하지만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이 있듯이 PD 또한 각기 경력과 부서에 따라 다르다.

경력에 따라서는 AD, PD, CP로 나뉠 수 있다. ADPD의 보조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을 말하며 작게는 2~3년 크게는 7~8녀의 AD를 거치고 입봉을 해야지만 PD가 될 수 있다. PD는 프로그램의 기획, 예산, 편성 등 프로그램 제작에 전반적인 업무를 담당하며 AD를 거쳐야지만 될 수 있다. 하지만 방송사에 따라 3~5차 이상의 경력자로 제한하고 있다.CP는 방송경력 10년 차 이상의 PD 경력자로 여러 프로그램의 제작을 담당하거나 여러 명의 연출자를 관리하는 사람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부서에 따라서는 크게 드라마 PD, 시사교양 PD, 예능 PD, 스포츠 PD, 라디오 PD, 편성 PD 등으로 나뉠 수 있다. 대부분의 PD(방송연출가)들은 공통적으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작하게 되는데 먼저 시나리오 작가를 선정하여 제작될 프로그램의 계획을 설명하고 완성된 대본을 평가한 후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이에 적당한 방송 작가와 제작진, 출연진들을 선출하고 무대배경, 음악, 카메라 작업, 시간 배정 등을 결정하기 위해 제작진과 협의하고 제작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의 활동을 조정하며 촬영 일정을 결정하고 장소 섭외, 무대배경 설치, 소품 및 장비 준비 등을 지시하여 촬영, 녹화를 총지휘한다. 하지만 이러한 일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을 지휘할 수 있는 통솔력과 위기 대처 능력이 있어야 하며 다양한 정보에 대해 폭넓게 수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며 신체적인 건강과 원만한 대인관계가 요구되기 때문에 리더십, 적응성, 책임감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지상파 방송사의 포로 듀서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각 방송사에서 실시하는 공개채용에 합격해야 한다. 지상파 방송국의 공채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언론고시라 불릴 정도로 힘든 공개채용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지상파 방송사의 공개채용 시험의 경쟁률은 굉장히 높다. 하지만 방송국에 따라 방송 PD 채용 과정은 약간의 차이가 있다.

SBS의 경우 우선 인턴십 평가에 참여 가능해야 하며 군필자 또는 면제자여야 한다. 전형은 크게 서류전형>필기시험>역량면접>합숙평가 및 임원면접>인턴십 평가를 통해 선출된다. 이와 달리 MBC는 서류전형과 필기시험(작문, 종합교양 및 분야별 직무관련 지식)의 과정은 비슷하지만 SBS와 달리 합숙평가가 없으며 대신 다면 심층 면접을 본 후 최종면접을 통해 방송 PD를 선출하고 있다. 그러나 케이블방송국[전국 200여 개], 위성 방송국 [50여 개 사], 프로덕션사[전국 150여 개], 기업체 사내 방송국, 인터넷 방송국 등의 경우에는 인맥이나 사설방송교육학원 추천 등으로 취직할 수 있다. 이렇듯 각 방송사들의 채용조건에서 나이와 학과 국가공인자격증을 요구되는 것은 없지만, 주요 지상파방송사 등 채용 시험 응시 시 TOEIC 공인영어성적 제출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며 KBS 입사지원의 경우 KBS 한국어능력시험 성적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필기시험이나 면접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다방면의 지식을 갖춰야 한다. 대부분의 방송연출가가 포함된 감독 및 기술감독의 종사자수는 16,300명이며, 이 가운데 임금근로자는 11,300(69.5%)이다. 방송연출가가 포함된 감독 및 기술감독의 성비는 남자 86.9%, 여자 13.1%이며, 평균 연령은 35.8세이다. 전체적으로 평균 15.5년의 학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계속 근로연수는 6.4년이다(자료: 2011-2012 Job Map) 월평균 수입은 320만 원이다(자료: 2011-2012 Job Map

이전글 아나운서에 관하여(최지혜)
다음글 직업군인, 전역 후 제대 후 남은건...?(김윤정)